본문 바로가기

잡지식

PBR의 활용_PER과의 차이는?

지난 포스팅에서 PER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는 PER과 비슷하지만 다른 PBR을 소개하겠습니다.

 

PBR은 "Price to Book Ratio"의 약자이며,

우리말로는 '주가순자산비율' 이라고 합니다.

 

계산방식은,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입니다.

예를들어 A전자의 주가가 10000원이고, 주당 순자산이 5000원 이라면,

PBR은 10000/5000 = 2 입니다.

 

<PER의 의미와 활용>

만약 B전자 회사의 주가순자산 비율이 1 이라고 하면,

B전자가 망해서 회사가 가진 자산을 매각한다고 할때 

B전자가 가진 부동산, 시설등이 있겠죠? 이를 매각했을때 나오는 돈이 있을것이고,

회사가 사업을 하다보면 부채도 있을 것입니다.

쉽게말해, 회사가 가진 자산을 매각하고 부채도 갚았을때 남는돈이 바로 '순자산' 입니다.

이때, 순자산을 주식갯수로 나눈것이 '주당순자산'

그리고,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것이 바로 PBR '주가순자산비율' 입니다.

 

PBR은 주가가 떨어질때 어느정도까지가 한계인지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상식적으로 볼때, 주가가 아무리 떨어져도 회사의 청산가치 보다도 가격이 떨어진다면

비정상적인 가격인 상황이기 때문이죠.

PBR이 1보다 낮다면 회사의 청산가치 이하로 주가가 낮은상황이기에 관심을 가져볼법 합니다.

 

하지만 PBR이 1보다 낮다고해서 무조건 투자하라는 말은 아닙니다.

기업은 기본적으로 이윤을 창출해야 하고,

기업의 자산을 평가하는 요소에는 부동산, 시설등과 같은 유형자산 이외에도

상표권이나 영업권등 무형자산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죠.

무형자산의 평가는 기업의 상태에따라 다르게 평가되기 마련이고,

PBR도 시시각각 기업의 가치를 올곧게 반영한다고 보기는 어렵고

한발늦게 반영되는것이 대부분입니다.

또한, 기업이 망해서 실제로 청산절차에 들어간다고 할때

측정된 수치보다 낮은가격에 매각되는것이 대부분이죠.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PBR이 낮을때도 주의깊은 접근이 필요합니다.

<PER, PBR의 비교>

PER은 '주가수익비율' 로서

주가/주당순이익 으로 계산합니다.

 

PER은 이익을 기준으로 주가를 평가한다면

PBR은 기업의 자산을 기준으로 주가를 평가합니다.

 

각자 바라보는 관점이 다른만큼, 두 지표를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하겠습니다.